[자기주도&습관] ‘심심해’는 자기주도 놀이의 시작입니다

2025. 5. 18. 16:29자기주도 학습 & 습관

‘심심해’는 자기주도 놀이의 시작입니다

아이의 “심심해”는 게으름이 아닌 성장 신호입니다. 자기주도적 놀이가 시작되는 순간이며, 창의력과 사고력을 키우는 기회입니다.


🔍 “심심해!”라는 말, 언제 가장 자주 들으시나요?

  • TV 끄고 나면
  • 장난감이 질릴 때
  • 하루 종일 놀고도 “또 뭐하지?”라고 물을 때

이럴 때마다
📌 “그럼 이거 해봐”, “엄마가 뭐 해줄까?” 하며
무언가를 제공하는 방식에 익숙해져 있진 않으신가요?

 

그러나 사실 아이의 “심심해”는
스스로 놀이를 찾아가는 뇌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 ‘심심함’은 게으름이 아니라, ‘자기 동기’가 시작되는 시점

기능설명
🧠 상상력 자극 외부 자극이 없을 때, 뇌는 내면 자극을 찾으려 합니다.
🔄 내적 동기 작동 “무엇을 할까?”를 스스로 고민하는 순간, 자율성이 작동
🎨 창의적 연결 반복된 심심함 속에서 기존 놀이의 재해석 발생 가능
 

“아이의 뇌는 지루함 속에서 새롭게 작동하기 시작합니다.”


🧠 ‘심심함’을 자기주도놀이로 연결하는 4가지 방법

1. ⏳ ‘심심한 시간’ 버티기 훈련

바로 무언가를 제안하지 말고, 5~10분 정도 그대로 기다려보세요.

  • 아이의 뇌는 비어 있는 공간에서 탐색을 시작합니다.
  • 심심함을 부정적인 감정이 아닌, 중립적 상태로 받아들이게 해주세요.

2. 🧸 오픈엔디드 재료 상시 배치

  • 정해진 규칙이 없는 놀이 재료 예: 상자, 천, 종이, 끈, 클레이 등
  • “이걸로 뭘 할 수 있을까?”를 묻는 순간이 창의성의 출발점
  • ✅ 정답이 없는 재료는 아이에게 ‘선택과 계획’을 유도합니다.

3. 📒 “심심했던 순간” 일기 놀이

  • 하루 중 가장 지루했던 순간을 그려보게 하거나 이야기 나누기
  • “그때 뭐가 떠올랐어?”, “그다음에 뭐 하고 싶었어?”
    내면을 인식하고 계획하는 연습이 됩니다.

4. 🎯 스스로 정하는 놀이 목표 놀이

  • “오늘은 뭐 해볼까?”, “하루 중에 이걸 꼭 해보자!”
  • 작은 미션 카드 만들기, 놀이 달성 스티커 등
  • 놀이에 목적을 더하면 아이는 계획하고 실행하는 힘을 익힙니다.

📊 관련 사례 및 연구

  • Daniel Levitin, <정신의 뇌과학>(2017)
  • “심심함은 창의적 사고의 발화점이며, 자기주도적 동기의 촉진제 역할을 한다.”
  • 서울아동인지발달연구회(2022)
  • “심심함을 방치하기보다 탐색 기회로 활용한 그룹에서 자발적 놀이 지속 시간이 2배 이상 증가”
    자료 보기

 

“심심해요”는
📌 아무것도 할 게 없다는 말이 아니라, “이제 내가 뭔가 해볼 차례예요”라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그 시간을 견디는 힘,
그 안에서 무언가를 시작하는 능력이
자기주도성의 가장 강력한 근육입니다.


🔗 관련 링크


 

본 글은 2025년 5월 16일 기준으로 작성된 내용이며, 이후 변동 사항이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