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5. 22. 13:00ㆍ창의 교육 인사이트
[미래를 바꾸는 창의성 교육: 부모를 위한 인사이트 리포트]
PART2. 창의성, 어떻게 길러야 하는가
🧠 #8. 창의성을 가로막는 부모의 5가지 말버릇
“그건 아니야”, “왜 그렇게 했어?” 같은 말들이 아이의 창의성을 위축시킬 수 있다. 무심코 내뱉는 부모의 말 한마디가 아이의 사고 습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창의성 발달을 위한 언어 환경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 말버릇이 사고의 경계를 만든다
아이의 창의성은 특정 활동에서만 자라는 것이 아니다. 일상에서 오가는 언어와 상호작용 속에서 사고의 확장과 위축이 반복된다. 특히 부모가 무심코 내뱉는 말 한마디는 아이에게 ‘표현해도 되는가’, ‘질문해도 되는가’의 기준을 만들어주는 강력한 신호로 작용한다.
부모의 언어는 아이가 무엇을 상상하고 시도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프레임이다. 한 마디의 말은 단순한 정보 전달이 아니라, 사고 습관, 정서 반응, 자아 효능감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환경 조성 요소다. 따라서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말버릇에 대한 민감한 점검이 필요하다.
❌ 창의성을 위축시키는 5가지 말버릇
1. “왜 그렇게 했어?”
이 질문은 잘못에 대한 지적처럼 들릴 수 있어 아이를 방어적으로 만들거나 설명을 회피하게 한다. 자칫하면 아이는 자신의 사고 과정을 표현하는 대신, 해명이나 정답 찾기에 급급한 태도를 갖게 된다.
- ✅ 대안 표현: “그렇게 한 이유가 궁금해. 너의 생각이 궁금해.” / “어떤 생각이 들어서 그렇게 했을까?”
2. “그건 아니야”
아이의 해석이나 발상이 기대와 다를 때 나오는 말이다. 이 말은 ‘틀렸다’는 인식을 강화하며, 창의적 탐색보다는 정답 찾기에 집착하게 만든다.
- ✅ 대안 표현: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구나. 또 다른 방법은 뭐가 있을까?”
3. “그림은 이렇게 그리는 거야”
표현 방식에 정답을 강요하면 아이는 자기 스타일과 표현 감각을 잃는다. 특히 창의성의 기초인 ‘다르게 표현하기’ 능력이 억눌린다.
- ✅ 대안 표현: “이건 너만의 스타일이구나. 여기에 담은 이야기를 들려줄래?”
4. “그만해, 지금은 장난칠 때가 아니야”
즉흥적 표현이나 엉뚱한 행동을 장난으로 규정하면 아이는 몰입과 탐색의 태도를 잃고, 창의적 흐름이 중단된다.
- ✅ 대안 표현: “지금은 기다려야 하지만, 너의 아이디어가 궁금해. 나중에 꼭 이야기해줘.”
5. “그건 말도 안 돼”
비논리적이거나 비현실적인 상상력을 부정하면 아이는 상상 자체를 억제하게 된다. 기발한 생각의 출발점은 언제나 말도 안 되는 상상에서 비롯된다.
- ✅ 대안 표현: “정말 신기한 생각이야! 그다음엔 어떤 일이 벌어질까?”
💬 언어가 사고 습관을 만든다
창의적 사고는 질문, 실패, 탐색, 표현의 반복 과정 속에서 발달한다. 이 사고의 흐름이 끊기지 않도록 돕는 언어는 곧 사고의 촉매제이자 방패막이다.
- 📍 열린 질문 활용하기: “왜?”보다 “어떤 생각으로 그렇게 했을까?”, “그 생각은 어디서 왔을까?”처럼 사고를 열어주는 질문
- 📍 표현 격려하기: 논리성보다 시도 자체를 인정하는 반응 (“네 생각이 정말 특별하구나”)
- 📍 실수 수용하기: 실수는 학습의 일부이며, 반복 속에서 사고가 정제된다는 인식을 언어로 보여주기
🧭 부모를 위한 실천 전략
창의적 언어 환경을 만들기 위한 실천은 복잡하지 않다. 작은 언어 습관의 변화가 큰 심리적 차이를 만든다.
- ✏️ 하루에 한 번 아이의 생각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되묻기 (“그 생각은 어디서 나왔어?”)
- 📖 아이가 자주 쓰는 질문이나 표현을 기록하며 언어 패턴 점검하기
- 🧠 “그럴 수도 있겠다”라는 문장을 하루 한 번 의식적으로 사용하기
- 🗣️ 말 대신 그림, 몸짓, 이야기를 활용한 비언어적 표현 격려도 함께 실천하기
📚 참고자료
- UNESCO – Parents as Partners in Creative Education
- Harva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 Making Thinking Visible
- EBS 다큐프라임 – 창의성의 조건
- APA – Language and Child Development
📝 시사점
창의성은 어떻게 표현되도록 허용하느냐에 따라 자랄 수도, 멈출 수도 있다.
“그건 아니야”라는 한마디보다
“그 생각은 어디서 나왔어?”라는 질문 하나가
아이의 사고를 무한히 확장시킨다.
말은 단순한 소리가 아니라, 사고를 여는 열쇠다.
📚 시리즈 칼럼
📌 이 글은
"AI 시대, 우리 아이에게 진짜 필요한 교육은 무엇인가?"
놀이를 넘어, 사고력·자율성·미래 역량을 키우는 실질적 창의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미래를 바꾸는 창의성 교육: 부모를 위한 인사이트 리포트] 시리즈 #8편 입니다.
✔️연관 글도 함께 읽어보시는걸 추천합니다😊
🟨PART1. 창의성, 왜 지금 필요한가
#1 | 왜 지금, 창의성이 미래를 결정짓는가 | 5월 21일 오전 7시 공개 |
#2 | ‘지식’보다 ‘창의적 사고력’이 우선되는 시대 | 5월 21일 오전 9시 공개 |
#3 | 전 세계 교육이 창의성에 집중하는 이유 | 5월 21일 오후 1시 공개 |
#4 | 한국 교육은 무엇을 놓치고 있는가 | 5월 21일 오후 3시 공개 |
#5 | 부모는 어떻게 창의 교육의 시작점이 되는가 | 5월 21일 저녁 8시 공개 |
🟨 PART 2. 창의성, 어떻게 길러야 하는가
#6 | 창의성은 어떻게 발달하는가: 두뇌, 경험, 환경 | 5월 22일 오전 7시 공개 |
#7 | 창의적 아이의 공통점: 질문, 상상, 연결 | 5월 22일 오전 9시 공개 |
#8 | 창의성을 가로막는 부모의 5가지 말버릇 | 5월 22일 오후 1시 공개 |
#9 | 창의성 중심 교육,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 5월 22일 오후 3시 공개 |
#10 | 미래형 인재에게 필요한 마지막 역량은? | 5월 22일 저녁 8시 공개 |
본 글은 2025년 5월 20일 기준으로 작성된 내용이며, 이후 변동 사항이 있을 수 있습니다. ‘창의성을 가로막는 부모의 5가지 말버릇’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출처 및 관련 자료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창의 교육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를 바꾸는 창의성 교육] #10. 미래형 인재에게 필요한 마지막 역량은? (3) | 2025.05.22 |
---|---|
[미래를 바꾸는 창의성 교육] #9. 창의성 중심 교육,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4) | 2025.05.22 |
[미래를 바꾸는 창의성 교육] #7. 창의적 아이의 공통점: 질문, 상상, 연결 (4) | 2025.05.22 |
[미래를 바꾸는 창의성 교육] #6. 창의성은 어떻게 발달하는가: 두뇌, 경험, 환경 (1) | 2025.05.22 |
[미래를 바꾸는 창의성 교육] #5. 부모는 어떻게 창의 교육의 시작점이 되는가 (2) | 2025.05.21 |